WT 조정원 총재 “전자호구 개발, 컬러 경기복 도입 신속하게”
2024 파리올림픽 평가에는 “성공적, 다시 접하지 못할 경기장”
오는 30일 춘천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기간 맞춰 집행위와 총회 개최
세계태권도연맹(WT, 총재 조정원)이 2028 LA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위한 변화를 예고했다.
WT는 9월 24일(화) 오전 11시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부영태평빌딩 WT 본부에서 ‘일간지 및 전문지 기자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WT 조정원 총재를 비롯해 서정강 사무총장, 이재욱 스포츠국장, 제리링 기획재무국장, 노희수 행정소통국장, 김기삼 비서실장과 대한태권도협회 양진방 회장, 춘천레저태권도조직위원회 이상민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으며, 일간지 및 전문지 언론인 30여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 총재는 지난 2023년 지난 8월 11일 막을 내린 2024 파리올림픽과 지난 9월 8일 막을 내린 2024 파리패럴림픽의 결과를 설명하며 “이번 올림픽과 패럴림픽은 역대 최고 성공적인 올림픽이다. 앞으로 그런 경기장에서 올림픽은 열릴 수 없을 것 같다. LA올림픽 조직위원회와의 미팅에서도 이런 경기장은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과거에는 자신들 국가 경기가 끝나면 집에가느라 마지막에는 관중석에 빈자리가 많았는데 이번에는 끝날 때까지 관중들이 많았다”고 프랑스 파리의 대표적인 건축물이자 박물관인 그랑팔레의 웅장함과 최고의 태권도 경기장으로 만들어 준 조직위 관계자들을 치켜세웠다.
이번 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태권도는 각각 23개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지난해 올림픽에서 20개국, 패럴림픽에서 16개국이 메달을 획득한 것보다 증가한 수치다. 특히 WT가 2016년 전 세계 난민을 지원하기 위한 태권도박애재단(THF)을 설립한 이후 9년만에 아프가니스탄 난민 출신 자키아 쿠다다디가 이번 패럴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에는 고무적인 평가를 내어놓았다.
조 총재는 “IPC 위원장과 관계자들이 난민 선수 최초의 동메달리스트가 태권도에서 탄생해 대단히 기뻐했다”면서 “이번 올림픽에 태권도는 5명의 난민 선수가 출전했는데 이는 육상과 유도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THF를 만들어 난민 지원에 앞장섰고, 난민들에게 태권도를 통해 꿈과 희망을 찾도록 한 목적이 달성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난해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IOC 뮤지엄에 태권도 동상도 좋은 위치에 설치되고, 올림픽컵도 받게 된 것은 태권도의 위상이 높아져 IOC내에서도 입지가 상승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권도는 2028 LA올림픽까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있다. 내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32년과 2036년 올림픽 코어스포츠(핵심종목)을 선정하게 되는데 조 총재는 “지금의 위상을 보았을 때 우려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WT는 2028 LA올림픽에 혼성단체전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IOC내에서도 긍정적인 분위기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LA패럴림픽에는 현재 겨루기 종목만 설치되어 있는데 품새(지적장애유형)를 정식정목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이 또한 긍정적인 상황이다.
조 총재는 “올림픽에 혼성단체전을 넣는 것은 메달이 1개 추가되는 부분이라 분위기가 좋은 상황”이라며 “패럴림픽에 품새를 도입하는 것 또한 IPC에서 관심이 높다. 또 위원장이 브라질 사람인데 이번에 태권도에서 브라질이 금메달을 2개 가져갔다”고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WT는 이번 올림픽에서 머리 득점 유무 확인을 위한 영상판독 요청으로 인해 경기 중단이 잦은 부분을 개선할 계획이다. 경기개선위원회를 통해 이번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문제를 확인하고, 차기 올림픽에서의 변화를 위한 경기규칙개정 작업에 들어간다.
조 총재는 “현재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경기규칙이 다르다. 올림픽은 2분 3회전이고 패럴림픽은 5분 1회전이다. 심판 또한 이원화되어 있다. 패럴림픽도 2분 3회전으로 가고 심판도 일원화해서 올림픽 심판이 조금의 교육만 받으면 패럴림픽 심판도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경기개선위원회가 이번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 와서 참관을 하고 개선회의도 한다. 빠르면 내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개선된 경기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WT는 LA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위한 전자호구 개선과 경기복 변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재 전자호구는 2개 업체의 전자호구만이 WT의 공인을 얻어 사용되고 있는데, 추가 공인을 통해 업체간 기술 경쟁을 유도하고, 타격을 인식하는 센서의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또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기능적 소재가 개발되어 지난 올림픽부터 신형 경기복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다양한 색상을 입힐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WT는 오는 30일 세계청소년태권도선수권대회 개회식이 열리는 춘천에서 집행위원회와 총회를 개최한다. 또 같은 날 WT본부 춘천 이전과 건립을 선포하는 선포식을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