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된 경기 시간과 일정에 심판들 쌓인 불만과 부당한 처우 폭발
“경기 중단 보이콧은 잘못”, 심판들에게 모든 책임 전가해선 안돼
-늦게 끝나는 경기, 빡빡한 일정 등 원인 규명과 해결책 강구해야
서성원 기자 / tkdssw@naver.com
지난 달 중순 ‘제22회 우석대학교총장기 전국태권도대회’에서 발생한 품새 심판들의 사상 초유 ‘보이콧(boycott)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 대회는 대한태권도협회(KTA)가 승인한 대회로, KTA와 우석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KTA 상임 심판들을 위촉·파견했다.
심판들의 집단 보이콧은 품새 경기 이틀째인 7월 22일 오전 9시에 발생했다. 일부 심판들의 이탈로 4코트 중 3코트에서 경기가 진행되다가 그후 모든 경기가 중단되는 등 1시간 30분 동안 보이콧 소동이 이어졌다.
보이콧 파문을 둘러싸고 주최 학교 측의 행정적 착오, 심판위원장과 감독관의 소통 부재 및 현장 대처능력 부족, 일부 심판들의 호전적인 집단행동, 공동 주최인 KTA의 대회 운영 방관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쟁점은 크게 세 가지다.
첫 번째는 심판들이 왜 ‘경기 중단’이라는 물리적 실력행사, 즉 보이콧을 할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한 명확한 원인 규명과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두 번째는 불만 표출과 항의 차원에서 심판들이 보이콧을 한 것이 과연 도리에 맞고 온당한 행위냐는 것이다.
세 번째는 더 이상 심판들의 보이콧 집단행동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선 어떤 제도와 정책이 필요한지에 모아지고 있다. 재발 방지 차원에서 이번 보이콧 파문을 냉철하고 합리적으로 진단하고 처방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것.
심판들이 보이콧을 한 것은 명료하다. 다른 대회에서 수차례 오후 6시 이후에 경기가 끝나는 등 경기 시간과 일정에 대한 피로 누적과 그에 따른 처우가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보이콧 파문은 학교 측의 행정 착오에서 비롯됐다. 당초 심판들의 수당을 ‘4일’로 따져 서명을 받아 놓고 ‘3일 반나절’로 지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피로 누적과 처우 문제 등으로 쌓여 있던 심판들의 불만이 터졌다.
여기에 동요한 심판들의 의견을 묵살하는 발언과 상황이 보이콧을 초래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우석대 측의 입장은 좀 다르다. “대회 전에 주최측에서 경기부에게 수당 조정을 해서 ‘반일비’를 더 주는 것(3.5일치)으로 이미 협의가 된 사항”이라며 “심판위원장에게도 전달되어 진행된 사항이다. 그러나 수당 부분이 심판들에게 전달이 되지 못해 다소 혼선이 있었던 것 같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심판부의 A씨는 8월 3일 “주최 학교 측에서 3.5일 일비(수당)라고 했는데 일비 부분이 심판부에 전달된 바가 없다. 첫날 일비 서명할 때 4일분 서명을 받으니 심판들은 그 정도 성의를 보였으니 (품새 경기 첫날) 밤 8시 30분까지 경기하는 것도 감수하기로 했는데, 첫날 경기가 끝난 시점에서 3일 서명을 받아야 하는데 실수로 4일 서명 받았다며 다시 서명하라고 해서 내일 다시 이야기 하자고 하고 숙소로 들어갔다”고 말했다.
A씨는 “(처음부터) 3.5일 일비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 후 주최 학교 측에서 회의한 결과 3.5일로 일비를 결정했다고 경기부에서 전달 받았다”며 “심판부의 리더십 부재 등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품새 심판들의 보이콧 소동과 관련, 같은 대회 현장에서 활동하는 격파 심판들 또는 경기·기록분과 임원(위원)들과 비교해, 품새 심판들의 잘못된 행위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다. 대회 현장에서 비슷한 처지와 상황을 겪고 있는데, 품새 심판들이 과민한 반응과 튀는 행동을 한다는 것.
하지만 품새 심판들의 보이콧 집단행동을 무조건 비판하지 말고, 왜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대해 품새 심판들은 다음과 같은 입장과 해결책을 내놓았다. 보이콧 현장에 있었던 권오열 심판은 8월 2∼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처음부터 보이콧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대회 끝나고 나면 처음에는 잘하겠다고 해놓고 똑같은 상황이 되풀이되다 보니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경기에 차질을 준 부분에 대해서는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후배와 제자들이 똑같은 대우를 받게 될 것이다. 수당 조금 더 받았다고 좋아하는 심판들은 없다. 4일 (심판을) 해야 할 경기면 4일간 하면서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고 정상적인 컨디션으로 심판 업무를 하자는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다.
또 서민학 심판은 “경기가 늦게까지 진행되면서 심판들이 경기를 보이콧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면서도 “대회를 주최하는 측에서 사전에 경기 시간과 날짜(일정)을 조율했다면 보이콧하는 일은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회를 주최하는 측은 참가 인원을 제한하거나 대회 날짜를 충분하게 늘려서 경기가 정시에 시작하고 마무리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제는 태권도 경기장의 문화를 바꿔야 할 때”라며 대안을 제시했다.
이번 보이콧 파문은 그동안 여러 문제가 쌓이고 얽혀서 발생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공동 주최인 KTA도 그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KTA는 보이콧 파문이 일어난 후 해당 위원장과 의장단을 불러 전후사정과 경위 등을 파악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현 집행부는 임기가 4개월 정도 남았지만 합리적인 대회 일정 조정과 심판들의 처우개선(복리증진)에 더 힘써야 할 것이다. 특히 차기 회장선거에 입후보하는 출마자들이 중점 추진 정책에 이 내용을 포함하길 기대한다.